본문 바로가기
임신

임당-임신성당뇨 위험성과 관리 방법

by jean1e 2024. 7. 23.
반응형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 처음으로 진단되는 당뇨병을 말하고 있습니다. 임신 전에는 당뇨병이 없었던 여성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인데요. 이는 임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르몬 변화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임신성 당뇨는 주로 임신 중기인 24주에서 28주 사이에 진단됩니다.

주요 원인

  • 호르몬 변화: 임신 중에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예: 태반 락토겐)이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킵니다.
  • 인슐린 저항성: 임신 후반부로 갈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혈당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많은 경우 임신성 당뇨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과도한 갈증
  • 빈뇨
  • 피로감
  • 시야 흐림

진단 방법

  • 당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 GTT): 임신 24-28주 사이에 실시됩니다.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일정 시간 후에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합니다.

합병증

임신성 당뇨가 잘 관리되지 않으면 모체와 태아 모두에게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임신성 당뇨에 확정되면 세심한 관리가 필요로 합니다.

엄마에 미치는 합병증

임신중독증(Preeclampsia)

  • 고혈압과 단백뇨를 특징으로 합니다.
  • 태아의 성장 제한, 조산, 유산 등의 위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임신성 당뇨가 임신중독증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이는 아니나, 임신성 당뇨의 고혈당 상태는 혈관 벽을 손상시켜 염증을 유발하고, 이는 임신중독증의 발병 기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심한 두통, 시야 흐림, 상복부 통증, 체중 증가 및 부종

고혈압(Gestational Hypertension)

  • 임신 중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임신중독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

  • 거대아(큰 아이)로 인한 난산 위험이 높아져 제왕절개 분만의 필요성이 증가합니다.

출산 후 당뇨병

  • 출산 후에도 고혈당이 지속되거나, 이후에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습니다.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합병증

거대아(Macrosomia)

  • 출생 시 체중이 4kg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이는 난산과 분만 시 태아에 외상(어깨 이상 분만, 쇄골 골절 등)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거대아로 인한 제왕절개 필요성이 증가합니다.

저혈당증(Neonatal Hypoglycemia)

  • 태아가 출생 후 인슐린 과다로 인해 혈당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출생 후 몇 시간 이내에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손떨림, 어지럼증 심한 경우 혼수상태까지 올 수 있는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임신성 당뇨로 인해 태아의 폐 성숙이 지연될 수 있어 출생 후 호흡 곤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황달(Jaundice)

  • 신생아 황달은 임신성 당뇨와 관련된 빈혈과 태아의 적혈구 수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체중 증가 및 비만

  • 출생 후 대아의 성장기에 비만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인 합병증

제2형 당뇨병

  • 임신성 당뇨를 앓았던 여성은 출산 후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 태아 역시 장기적으로 제2형 당뇨병과 비만에 걸릴 위험이 증가합니다.

심혈관 질환

  • 임신성 당뇨는 모체에게 향후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관리 방법

임신성 당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1. 식이 요법
    • 균형 잡힌 식사: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균형 있게 섭취합니다.
    • 복합 탄수화물 섭취: 통곡물, 채소, 콩류와 같은 복합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단순 탄수화물(예: 설탕, 흰 빵 등)은 피합니다.
    • 식사 횟수 조절: 하루에 3번의 주식과 2-3번의 간식을 섭취하여 혈당 변동을 최소화합니다.
  2. 운동
    • 규칙적인 운동: 걷기, 수영, 임신부 요가 등 저강도 운동을 주 3-5회, 매회 30분 정도 실시합니다.
    • 주의사항: 과도한 운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운동은 피하고, 운동 전후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3. 혈당 모니터링
    • 혈당 측정: 식사 전후와 잠들기 전 등 하루에 여러 번 혈당을 체크하여 목표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 목표 혈당 범위: 일반적으로 식전 혈당은 95 mg/dL 이하, 식후 1시간 혈당은 140 mg/dL 이하, 식후 2시간 혈당은 120 mg/dL 이하로 유지합니다.
  4. 약물 치료
    • 인슐린 주사: 식이 요법과 운동만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인슐린 주사를 사용합니다.
    • 경구 혈당 강하제: 일부 경우 경구 혈당 강하제가 처방될 수 있으나, 이는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합니다.
  5. 정기적인 의료 진료
    • 산전 진료: 정기적인 산전 진료를 통해 혈당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 추가 검사: 필요에 따라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태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합니다.
  6. 출산 계획
    • 분만 계획: 임신 말기에 혈당 조절 상태와 태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만 방법을 계획합니다.
    • 조기 유도분만: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조기 유도분만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임당에 걸리셨다면,
주치의와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임신성 당뇨는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대부분 건강한 임신과 출산이 가능합니다. 정기적인 의료 상담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